종합 > 경제모아
대기업 평균 연봉 1억원 돌파..5년 새 6배 증가

‘1억원 클럽’에 가입한 기업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2019년에는 9개 기업에 불과했으나 2020년에는 12개, 2021년 23개, 2022년 35개, 2023년 48개로 늘었고, 지난해에는 55개 기업으로 6배 이상 증가했다. 지난해 새로 가입한 기업으로는 현대글로비스(1억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1억1800만원), 삼성전기(1억300만원), KT&G(1억700만원) 등이 있으며, 5년 전인 2019년과 비교할 때 그 수가 6.1배 증가했다.
특히 매출 ‘톱10’ 기업은 모두 ‘1억원 클럽’에 속했다. 삼성전자는 1억3000만원, 현대차는 1억2400만원, ㈜SK는 1억1600만원, 기아는 1억3600만원, LG전자는 1억1700만원을 기록했다. 이외에도 SK이노베이션(1억5800만원), 포스코홀딩스(1억4800만원), HD현대(1억5900만원), SK하이닉스(1억1700만원), 현대모비스(1억3500만원)도 모두 직원 평균 연봉이 1억원을 넘었다. 이들 대기업들은 고물가와 인플레이션 등 경제 불확실성이 계속되는 가운데에도 임금을 지속적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물가 상승과 관련한 노동자들의 불만을 해소하기 위한 대책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기업 형태별로 보면, 지주회사의 임직원 평균 연봉이 자회사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LG의 경우 지주회사의 직원 평균 연봉은 1억8700만원으로 나타났으며, 자회사인 LG전자(1억1700만원), LG화학(1억300만원) 등은 이를 밑돌았다. 이는 지주회사가 자회사보다 임원 비중이 높고, 상대적으로 임직원 수가 적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CJ는 미등기임원의 평균 연봉이 21억4800만원에 달했으며, 이는 자회사인 CJ제일제당의 8200만원보다 10배 이상 높은 액수다. 이처럼 대기업 내에서도 임원과 일반 직원 간의 급여 차이는 매우 큰 것으로 분석된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정유·가스와 같은 에너지 기업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평균 연봉을 기록했다. 에쓰오일은 1억5400만원, SK이노베이션은 1억5800만원, E1은 1억2000만원을 기록했다. 반면, 유통·식품업체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평균 연봉을 기록했다. 이마트의 경우 평균 연봉은 5100만원, 롯데쇼핑은 5250만원으로, 에너지 기업들과 비교해 3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이러한 임금 격차는 같은 산업군 내에서도 차이가 나며, 업종에 따라 임금 수준이 달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호 한국경제인협회 경제산업본부장은 “지난해까지 지속된 고물가로 대기업의 임금은 계속해서 상향됐지만, 중소기업의 임금 상승폭은 크지 않아 임금 격차가 더욱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그는 “임금 상승뿐만 아니라, 기업의 생산성 제고에도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대기업은 평균 연봉이 1억원을 넘는 기업이 많아졌지만, 중소기업은 여전히 그 격차를 메우지 못하고 있어 임금 불평등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를 더욱 벌리게 할 것으로 보이며, 향후 경제 불평등 문제와 관련된 논의가 이어질 전망이다. 대기업의 고임금과 중소기업의 낮은 임금 수준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대기업에서 증가하는 연봉 수준에 따라, 중소기업들도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임금 인상이나 인센티브 제도를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임금 격차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